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단독주택 외부 마감 석재의 표면 마감 공법

건축정보

by 꿈꾸는 전원생활 2024. 10. 9. 08:05

본문

반응형

출처 - pinterest

 

석재는 표면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동일한 재료라 해도 다른 질감과 색감을 냅니다.

바닥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감의 종류가 제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외부 바닥에 미끄러운 표면 마감을 했을 경우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각 용도에 맞게 마감을 선택하여

원하는 질감과 색감에 맞는 마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마감재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석재 표면 마감 법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pinterest

 

손으로 다듬는 방법

 

1. 혹두기

혹두기는 쪼개진 돌의 거친 부분만 쇠 메로 다듬질해

석재 표면을 울퉁불퉁한 혹 모양으로 거칠게 마감하는 방법입니다.

건물의 외장재나 옥외 조경 시설에 많이 쓰이며

혹의 크기에 따라 큰 혹두기와 작은 혹두기로 구분됩니다.

작은 혹두기의 경우 미끄럼 방지 바닥재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혹두기 형태로 가공하면 많은 양의 돌을 사용해야 하고

버려지는 부분도 많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일반 건물에서는 일부분만 혹두기로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정다듬

끝날이 뾰족한 정이나 망치를 이용해서 표면을 평평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혹두기 상태의 표면을 정으로 타격해서 생긴 흰 자국이 거칠게 나타납니다.

옥외 조경 시설이나 건물의 외벽면에 주로 쓰입니다.

 

3. 잔다듬

​정다듬한 돌 표면을 날망치로 정교하게 다듬는 마감입니다.

표면이 고르고, 표면을 날망치로 때리면서 하얀 점들이 생겨

전체적으로 원래 색상보다 밝아집니다.

주로 부드러운 석재를 다듬을 때 사용하며,

국내 전통 건축에서 화강암을 다듬는 방식으로 많이 쓰였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석재에 적용할 수 있어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나 내 외벽 마감재로 폭넓게 사용되는 마감법입니다.

 

4. 줄다듬

석재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줄이 나도록

다이아몬드 톱이나 정으로 다듬질하는 방법입니다.

벽의 마감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선 모양의 패턴의 간격이나 크기에 따라 디자인 요소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대부분 석재에 적용할 수 있으며 미끄럼 방지 효과가 있는 바닥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pinterest

 

화염 처리로 마감하는 방법

 

1. 버너 구이

석재가공 방식 중에 미끄럼 사고를 막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버너 가공은 고열의 불꽃을 활용해서 석재의 표면의 직접 굽는 방법입니다.

잔다듬 가공과 같이 논슬립 효과를 만드는 데 유용합니다.

불에 그을리고 표면이 엷게 벗겨지면서

기존의 색상이나 무늬의 차이가 줄어들고 전체적으로 균일해진다.

색상은 원래보다 조금 어두워지며 고열로 인해 모양이 휘어지거나

입자가 변형되어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석회암, 대리석 등 내화성이 낮은 석재에는 쓸 수 없어

화강암이나 강도가 높은 일부 석회암에 사용한다.

비교적 적은 시간에 많은 물량 처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연마 처리로 마감하는 방법

 

1. 본갈기

반연마로 대개 혼드라는 용어로 불린다고 합니다.

카보런덤이나 다이아몬드 숫돌로 광이 나지 않을 정도로만

표면을 갈아 내어 부드럽고 매트한 면을 만듭니다.

갈아내는 횟수에 따라 매트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광택이 있는 것에 비해 표면이 또렷하지 않고 흐릿한 느낌이며 질감이 거칩니다.

흡수율이 높으므로 미리 전용 보호제를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2. 물갈기

본갈기가 반연마라면 물갈기는 본격적인 연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삭기에 물갈기용 숫돌을 부착하여 물을 뿌리면서

연마하거나 연마지에 물을 묻혀 갈아내는 것으로

바닥면에 사용하는 석재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물갈기 마감은 광택이 많을수록 오염에 강하고 광택이 적을수록 마모에 강합니다.

흡수율이 낮고, 오염이 덜 되어

실내 인테리어를 비롯해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입니다.

 

출처 - pinterest

 

분사와 압력으로 마감하는 방법

 

1. 모래분사다듬

모래(금강사)를 고압으로 분사해 표면을 벗기고 깎아내는 마감 방법입니다.

사포로 갈아내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냅니다.

부드럽게 표면을 마모하여 색상이나 무늬가 한결 옅어집니다.

대리석을 비롯한 모든 석재에 적용할 수 있는 마감법입니다.

 

2. 물다듬

석재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표면을 박리해 질감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표면을 벗겨낸다는 점에서 버너구이나 모래분사다듬과 유사하지만

물성이나 색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장점입니다.

빗살 무늬를 비롯해 다양한 모양이나 문양 연출이 가능하며

표면가공 외에 석재를 재단할 때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3. 브러시

와이어나 쇠, 다이아몬드로 만든 브러시로

표면에 압을 주어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솔질을 하면 약한 부분은 들어가고

강한 부분은 남으면서 자연스럽게 굴곡이 생깁니다.

표면의 색상은 옅어지지만 부드러운 질감이 살아납니다.

버너구이와 병행한 버너 브러시가 많이 쓰입니다.

오래된 건축 자재인 만큼 그 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석재라는 재료의 특성을 알고 각각의 용도에 맞는

마감법의 석재를 사용한다면 개성 있는

단독주택의 외부 모습이 연출될 거 같습니다.

 

단독주택 시공업체를 찾지 못해 고민하고 계신 상황이라면

질 좋은 전원주택, 단독주택을 짓기 위해

노력하는 숲건축으로 연락 주세요.

보다 친절하고 꼼꼼하게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숲건축 인테리어

문의 : 063) 243-5664 / 010-9249-5664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