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고와 천고는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건물의 공간감과 사용성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이 둘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건물의 구조적 기반과
효율적인 공간 사용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비슷해서 혼동하기 쉬운 층고와 천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층고
바닥 슬래브의 윗면에서 다음 층 바닥 슬래브 아래까지의 수직 거리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층 바닥 슬래브에서 2층 바닥 슬래브까지의 높이가 3.6m라면,
이 거리가 바로 층고입니다.
층고는 전체 높이와 각 층의 공간을 만드는 중요한 설계 요소로
층고가 높을수록 공간이 개방감이 있어 보이지만,
그만큼 높이가 증가하여 건축 비용이 상승하고,
구조적으로 더 큰 부분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층고는 난방과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가 더 많이 들 수 있습니다.
층고 설계 시 배관, 덕트, 전기 배선 등
모든 군집 공간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천장고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를 뜻하는 말로 실제 내부 공간의 높이입니다.
바닥 마감재 윗면에서 외부 마감재 장착면까지 수직거리가 천고가 됩니다.
예를 들어, 바닥고가 3.6m 높이의 지붕과 덕트 설치로 인해
0.6m의 공간이 필요하다면, 천고는 3.0m가 됩니다.
층고가 높더라도 시스템 에어컨이나 설비가 많이 설치되면
두꺼운 완충제를 사용해야 되므로 여러 가지 이유로
층고가 높다고 천고가 꼭 높은 것은 아닙니다.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 천고가
2.3m ~ 2.4m 정도의 높이로 인해 답답하게 느껴지거나
시스템 에어컨을 설치하기 힘들거나 평균 신장이 점점 커지다 보니
이런 부분을 반영해 요즘 신축되는 아파트는 천고를 2.5m로 만드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전원주택의 경우 집안의 면적이 좁다면
천장의 높이가 높을수록 개방감을 주어 시각적으로 더 넓게 보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층고가 높으면 높을수록 열전도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냉난방비가 더 나올 수도 있고 높이로 인해 면적의 증가와
시공 기간 증가 등 인테리어 시공 비용이 더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면으로 층고와 천고를 구분하는 방법이나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 등
도면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blog.naver.com/dito0666/223217511500?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심플한 전원주택(철근콘크리트조) 도면 쉽게 이해하기
평면도입니다. 평면도를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건물의 평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또는 건축물의 각 방, 출입...
blog.naver.com
단독주택 시공업체를 찾지 못해 고민하고 계신 상황이라면
질 좋은 전원주택, 단독주택을 짓기 위해
노력하는 숲건축으로 연락 주세요.
보다 친절하고 꼼꼼하게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숲건축 인테리어
문의 : 063) 243-5664 / 010-9249-5664
전원주택 내단열과 외단열의 장, 단점 (5) | 2024.10.13 |
---|---|
단독주택 신축 허가 / 신고 시 필요한 서류 (12) | 2024.10.12 |
경량철골조 주택의 장, 단점 (8) | 2024.10.10 |
단독주택 외부 마감 석재의 표면 마감 공법 (4) | 2024.10.09 |
단독주택 방화문에 대하여 (8) | 2024.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