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주인근전원주택 4

내화, 방화, 난연, 방염이란?

내화-불에 견디는 성질 일반적으로 내화성능, 내화 구조라는 용어로 사용되며, 건축물의 화재 시 기둥, 보, 바닥 및 벽 등과 같은 주요 구조부재가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일정한 시간 동안 하중지지력(구조안정성), 차열성 또는 차염성을 유지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소화활동 시간 확보나 붕괴에 의한 2차 피해 예방 등을 위한 것입니다. 방화-불이 확산되는 걸 막는 조치 방화구조, 방화구획 또는 방화설비 등과 같은 용어로 다양하게 사용되며,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화재 발생 시 인접 건축물, 인접실 및 상층부 등으로 연기나 열이 확산되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하며, 피난이나 소화활동 시 인명의 안전을 확보하고 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난연-재료 자체가 불에 잘 타지 않는 성질 건축재료가 불에 잘 타지 ..

건축정보 2023.11.14

전원주택 비슷해서 헷갈리는 건축용어

전원주택 신축을 준비하시다 보면 생각보다 비슷한 듯하면서 복잡한 용어들이 많다고 느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건축용어에서 헷갈리기 쉬운 기공, 착공, 시공, 완공, 준공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기공 기공은 공사의 시작을 알리는 단계입니다. 기공식이라는 단어는 예전에 T.V에서 많이 나오던 단어입니다. 대규모 공사의 경우 리본 커팅식, 사진촬영 등을 진행하지만 작은 규모의 공사는 대부분 생략하는 편입니다. 착공 착공은 본격적인 공사의 시작 단계입니다. 시공사가 공사에 착수하는 것을 말하는데 보편적으로 관련 기관에 착공 신고서를 제출한 뒤 장비를 이용해서 터 파기를 진행하는 단계입니다. 증축 또는 개축의 토목공사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건축물 축조하는 공사에 착수하는 단계를 말합니다. 시공 신축의 경우 건..

건축정보 2023.11.04

건축 용어 어렵지만 알고있어야 될. (행정/법관련)현장용어 포함

1. 신축 新築 명사 건물 따위를 새로 만듦. ​ 2.증축 addition, extention, 增築 [계획 및 설계] 부지 내에 이미 지어져 있는 건축물에 덧붙여 더 늘리어 지음. ​ 3. 개축 rebuilding, reconstruction, 改築 [계획 및 설계] ​ 동일 규모 내에서 기존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내력벽·기둥·보·지붕틀 중 3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를 다시 짓는 것. 종전 규모를 초과하는 경우는 신축이 된다. ​ 4. 재축 건축물이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재해로 멸실된 경우 그 대지에 종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다시 축조하는 것을 말한다. 재축은 건축물 및 대지가 법령의 재정 · 개정 등의 사유로 변경되어 법령에 부적합하더라도 허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재축의 경우에는 취득세를 ..

건축정보 2023.09.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