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로에너지하우스 157

전원주택 토지형질 변경, 용도변경, 지목변경?

허허벌판이나 산지에 있는 임야는 도시의 토지를 비교해 보면가격과 그 가치가 낮은 것처럼 토지는 위치와 용도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집니다.무분별한 개발이나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 원칙적으로 막기 위해토지별로 지목과 용도를 지정해 두었는데토지 개발행위 중 하나인 토지형질 변경도 마찬가지입니다.  토지형질 변경은 절토, 성토, 정지, 포장 등토지의 형상을 변경하는 행위와 공유수면의 매립(경작을 위한 형질 변경은 제외)을토지형질 변경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절토(깎는 행위), 성토(흙을 쌓아 올리는 행위)정지(평평하고 고르게 만드는 행위), 포장(도로 나 길을 만드는 행위)로토지 자체의 모양이나 특성이 변화시키는 걸 말합니다.시골, 임야에 전원주택을 건축하기 위해그에 적합하도록 정리하는 작업이토지형질 변경이라고 생..

건축정보 2024.06.26

지진력 저항 시스템(구조 계획)이란??

어떤 지진력 저항 시스템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내진설계 결과가 달라집니다.구조 계획에 자주 사용하는 시스템 다섯 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철근콘크리트 보통 전단벽 - 골조 상호작용 시스템코어는 전단벽, 기타구간은 기둥-보 프레임골조로 계획되어 있으며각 층별로 시스템이 동일한 구조일 경우 선택합니다.(프레임골조 구간 벽체는 비구조로 계획_각 층의 전단력에 대해 전단벽은 75% 이상,골조는 25% 저항해야 한다는 골조분담률을 고려하는 시스템이므로이를 증명해야 하는 별도의 과정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내력벽 시스템전반적으로 건물이 전단벽으로 구성된 구조일 경우 선택합니다.기둥-보 골조가 일부 있더라도 대부분 전단벽으로 구성되어 있다면이 시스템으로 선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모멘트-저항골조 시스템건물이 보..

건축정보 2024.06.25

내진설계 원리와 종류

내진설계는 지진에 저항할 수 있도록 건물을 설계하고건물의 붕괴를 막아 인명 손상을 막기 위한 목적입니다.내진설계의 종류와 원리에 대해 말씀드릴까 합니다.   1. 내진구조 내진구조는 강하는 규모의 지진파에건축물의 구조나 시설물들이 붕괴되지 않게철근콘크리트 등을 보강하여 튼튼하게 건축하는 걸 말합니다.지진이 발생했을 때 내구성으로 버틸 수 있게 만드는 구조를 말합니다.   2. 제진 구조 제진 구조는 땅으로부터 건물에 전달되는 진동을반대 방향으로 작용시키면서 건물의 흔들림을 막는 구조입니다.건물에 철제 빔을 이용 X자의 제진 장치를 보강해서지진이 발생하면 관성에 의해 건물이 진동하게 되면 X자의 철체 빔이 건물의 흔들림 방향과 반대로 건물을 잡아주는 방식입니다.   3. 면진구조 내진구조와 제진 구조가 지..

건축정보 2024.06.24

해외 사례 - 북유럽 스타일의 집

선명한 블루 컬러가 확 눈을 끄는 외관.실내에도 창백한 핑크와 블루 옐로우 등색상을 사용하여 팝으로 귀여운 인상으로 완성했습니다.​주방에서 거실의 모습을 지켜볼 수 있는배치로 가족과의 커뮤니케이션도 확실.건축주님의 작은 희망을 조금씩 담은돌아가고 싶어지는 단독주택을 소개합니다. 집 아이콘 모양과 밝은 파란색이 눈길을 끄는 귀여운 단독주택.새하얀 테두리가 건물의 인상을 강화하면서나뭇결 문과 문 기둥이 따뜻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푸른 하늘에 빛나는 화이트와 블루가 인상적입니다. 돌아다닐 수 있을 만큼 큰 정원에서 아이와 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카스페이스와 정원 경계에 마련한 울타리도 화이트로 통일감 주었고무심코 정원에 나가고 싶어지는 귀여운 디자인도 포인트입니다.문 기둥과 현관의 나뭇결로 부드..

건축정보 2024.06.21

전원주택 조명의 색상(주광색, 주백색, 전구색)

전원주택, 상가 등 어느 공간이든 조명이 들어가지 않는 공간은 없습니다.조명의 종류와 조명의 색상을 알고 계시면공간을 더욱 풍부하고 아늑하도록 계획하실 수 있습니다.조명의 종류는 많아도 색은 한정적인데 대표적인 3가지 색상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주광색 자연의 색이라고 불리는 주광색은 공간을 밝게 하면서도 선명하게 보여줍니다.집중을 해야 하는 공간이나 시야를 확보해야 되는 공간에 사용하면 좋습니다.모던한 디자인과 잘 어우러지는 컬러이기 때문에금속, 유리와 같은 소재와 함께 사용하면 공간이 더욱 돋보이게 됩니다.  주백색 주백색은 주광색과 전구색의 중간 색상으로 부드러운 컬러감이 있는 색상입니다.가장 자연스러운 컬러로 주광색과 만나면 전구색의 느낌이 강해지고전구색과 만나면 주광색의 느낌이 강해지기 때문..

건축정보 2024.06.21

단독주택 기초공사의 중요성

단독주택을 건축할 때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인기초공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기초공사는 건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꼭 필요한 공사입니다.  기초는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고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주로 콘크리트를 철근을 사용하며건물의 중량을 지반으로 효과적으로 분산하여지진, 바람, 토사 등의 외부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합니다.  단독주택이 위치할 지반 조건에 맞는적절한 기초공사를 통해 건물의 구조적인 강도와견고함을 확보하며 지반 조건에 따라필요한 보강 작업을 수행해야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안전한 기초 위에 건축된 주택은시간이 지나도 기울거나 무너지지 않습니다. 약하거나 부실한 기초 위에 주택이 지어지면흔들리거나 비틀릴 수 있습니다.지반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이 생겨 크랙이 발생하거나안전..

건축정보 2024.06.20

단독주택 썬룸의 장점

썬룸은 전원주택이나 단독주택에 많이 시공되는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공간을 말합니다.건물의 외부에 확장된 공간으로 구성되어자연적인 채광이 많이 들어와서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되는 공간입니다.  썬룸의 가장 큰 장점은 생활공간의 확장입니다.기존 내부 공간이 작다면 그 연장선으로 활용하기 좋아 테라스와 다르게 지붕이 있으니 계절에 상관없이휴식 공간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홈 카페나 바비큐 파티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하며다양한 취미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바깥의 냉기를 한번 차단해 주기 때문에내부 주택 안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기도 합니다. 외부의 경계로 되어 있어바깥 풍경을 계절이나 날씨에 상관없이 느낄 수 있으며폴딩도어를 설치해 주면 날씨가 좋을 때 열어두면자연과 더욱 가..

건축정보 2024.06.19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신축한 2층 단독주택

기초 - 매트 기초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지진력 저항 시스템 전단벽 – 골조 상호작용 시스템면적 – 지상 1층 114.42m2 지상 2층 52.62m2지역 – 생산녹지지역 지구, 구역 - 가축사육 제한구역정화조 – 10인용 단독정화조주차 – 자주식 주차 2대외부 마감 – 치장벽돌, 현무암, 스타코지붕 – 징크 패널​건축상담을 하면서 건축주님께 건축 과정을저희 블로그에 게시해도 되는지 양해를 구했는데전체 과정을 모두 올리는 건 안되고진행되는 과정을 외부에서 촬영한 사진만을 허락하셔서...내부 인테리어 과정은 올릴 수가 없네요 ㅜ.ㅜ​​전원주택,단독주택,목조주택,제로하우스,패시브하우스,리모델링,인테리어숲건축과 함께 하시면 설계, 시공, 준공까지논스톱으로 가능합니다!! 숲건축 인테리어문의 : 063) 243..

건축정보 2024.06.18

전원주택 외장재 스타코 플렉스의 장, 단점

외장 마감재는 건물의 외부를 보호하고 장식하는 역할을 하며파벽돌, 점토벽돌, 징크, 세라믹 사이닝 등 종류가 많이 있습니다.외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타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자인 면에서 스타코는 담백하고 깔끔한 디자인과군더더기 없는 건물의 외관을 만들어 줍니다.기온 변화에 따라 건축물은 수축과 팽창이 발생할 수 있어외장재가 떨어지거나 크랙이 생길 수 있습니다.스타코 플렉스는 탄성이 우수하여 수축과 팽창에 잘 대응할 수 있습니다. 스타코 플렉스는 외부에 단열재를 감싸는 형식으로 시공되어주택의 1차적인 열 손실과 열 교환을 차단,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 주며난방 및 냉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단열재를 붙인 후 밑 작업, 미장, 메쉬, 미장, 외장 마감 시공 순으로 진행되어다른 마감재와 비교..

건축정보 2024.06.18

전원주택 지구단위계획구역 규제요소 건축선과 벽면선(2)

지구단위계획구역 내에서는 가로경관을 개선하거나,보행자의 보행환경개선, 개방감 확보 등을 위해건축한계선, 벽면한계선, 건축지정선, 벽면지정선 등을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건축선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축한계선이란 그 선의 수직면을 넘어서건축물 지상부의 외벽면이 돌출되어서는 안되는 선을 말합니다.도로에 있는 사람이 개방감을 가질 수 있도록건축물을 도로에서 일정 거리 후퇴시켜건축하게 할 필요가 있는 곳에 지정하게 됩니다.협소한 보도 및 이면 도로의 폭과 통로의 확보가 필요한 곳에지정하거나, 도로의 모퉁이, 지하철 출입구 등전면공지 확보가 필요한 곳에 지정하게 됩니다.  벽면한계선 그 선의 수직면을 넘어서건축물의 특정층이 돌출되어서는 안되는 선을 말합니다.특정한 층에서 보행공간이나 공동주차 통로 등..

건축정보 2024.06.14
반응형